행위기준고과 법 -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(BARS)에 대한 연구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2-13 02:52
본문
Download : 행위기준고과법.hwp
2) 행위진술
위 집단은 각 차원의 행위를 수행하는 효과(效果)적, 평균(average)적, 비효과(效果)적 방식들을 찾아낸다. 척도설계자에 의해 처음 개발된 몇가지 동질적 행위범주에…(투비컨티뉴드 )
설명
행위기준고과 법 -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(BARS)에 대한 연구
-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.행위기준고과 법
■ 행위기준고과법(BARS)
Ⅰ 의의
BAR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나타나는 중요한 사실을 추출해서 몇 개의 범주로 나눈 후 각 범주에 해당하는 중요한 사건을 척도에 의해 평정을 하는 인사고과 기법을 말한다.
3 관찰가능한 행위의 확인
BAR에서 평가자는 종업원의 구체적이고 관찰 가능한 직무행위를 기록하고 이것을 척도 상의 행위와 비교하게 되므로 종업원의 행위와 발생해야 될 행위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
4 유효한 행위의 구별
BAR은 종업원들로 하여금 보다 유효한 행위와 그렇지 못한 행위를 구별하도록 하여 그들으 행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된다.
레포트/법학행정
행위기준고과,법,법학행정,레포트



순서
Download : 행위기준고과법.hwp( 76 )
행위기준고과 법 -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.
BAR은 전통적 인사고과 시스템의 취약점을 극복?보완하기 위해 1963년 개발하였으며, 평정척도법과 중요사건서술법을 보다 정교하게 계량적으로 수정한 기법이다.
3) 각 범주 분류
척도설계자는 위 진술을 수행하는 효과(效果)적, 평균(average)적, 비효과(效果)적 방식들을 찾아낸다.
2 구체적인 직무에 대한 적용
BAR은 특정 직무나 직무군의 속성 에 맞우어져 있기 때문에 효율적 행위를 지향함으로써 성과달성에 요인이 될 직무에 근거한 정보를 개인에게 제공한다.
Ⅲ 척도의 개발 및 이용방법
1 척도의 개발
1) 대상직무확정
상사를 포함한 종업원 집단에서 효과(效果)적인 직무행위를 구성하는 행위의 차원들을 확정한다. , 행위기준고과 법 - 인사고과 신기법으로써 행위기준고과법(BARS)에 대한 연구법학행정레포트 , 행위기준고과 법
다.
Ⅱ BAR의 특징
1 개발goal(목표) 의 강조
BAR에 의하면 goal(목표) 를 어떻게 달성할 수 있으며 어떤 행위가 goal(목표) 달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MBO와 함께 사용할 때 더욱 유효하며, 특히 개발goal(목표) 상의 강력한 도구가 된다된다.
4) 구체적 행위기술
성과차원의 효과(效果)적?비효과(效果)적 양극단 사이에 들어가는 구체적이고 관찰 가능한 행위를 표현하는 설명(explanation)을 기술한다.
5) 척도 재점검
마지막 단계에서 척도의 재표현 혹은 철저한 점검을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