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습부진아의 진단과 이해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2-14 00:51
본문
Download : 학습부진아의 진단과 이해.hwp
fff
1. 일반 능력 수준에 따른 관념 : 학습 지진/학습부진
2. 발생 원천에 따른 관념 : 학습 장애/학습부진
가. 뇌손상에 의한 기능장애
나. 유전적인 요인
다.
학습부진아는 개인에게 내재되어있는 요인보다는 environment(환경) 적 요소 즉, 가정, 수업, 또래 文化(culture) 요인의 influence으로 개인의 성격, 태도, 학습 습관이 학습 지체의 누적을 불러오…(skip)
순서
다.
그러나 지능이 학교 학습에 미치는 influence이 절대적이지 않음을 감안할 때 이러한 定義(정이)는 별로 설득력이 없다. 또한 학교 현장에서 학습부진아 지도 대상으로 선정된 아동들이 대개는 학습 지진에 속하는 지능을 가진 아동들인 경우가 많은 것을 보면, 위에서의 학습부진아의 定義(정이)가 학교 현장에서 잘 반영되어 있다 할 수 없다.
Download : 학습부진아의 진단과 이해.hwp( 14 )
,사범교육,레포트
레포트/사범교육
설명
학습부진아의 진단과 이해
학습 부진아 개념의 혼란에 대한 문제 인식에 기초하여 지금까지 우리 교육 현장에 소개된 학습 부진아와 관련된 세 가지 차원에서의 개념을 정리하여 보고, 우리 교육 현실에 적합한 학습 부진아 개념 모형을 정립하여 부진아 지도에 대한 교육 방향을 제시했습니다. 뇌의 불균형한 발달
3.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관념 : 학습 저성취/학습부진
가. 기초학습부진아
나. 기본학습부진아
이러한 학습부진아의 定義(정이)는 지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아동들(IQ 90 or 95 이상)이 기대하는 만큼의 성취를 보이지 못할 때 사용하는 관념으로, 이러한 학습 부진아와 혼동되는 관념으로 학습 지진아(IQ 70~90)와 정신 지체아(IQ 70~50 or 50 이하)를 들 수 있따 이들은 모두 지능이 낮기 때문에 학업 성취가 낮은 것으로 학습부진아와 구별되어야 한다.
2. 발생 원천에 따른 관념 : 학습 장애/학습부진
학습 장애도 학습 부진과 혼동하여 사용되는 관념으로, 지능은 정상이나 기대하는 성취 수준에 못 미치는 아동을 지칭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으며, 발생요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.fff , 학습부진아의 진단과 이해사범교육레포트 ,




학습 부진아 槪念의 혼란에 대한 문제 인식에 기초하여 지금까지 우리 교육 현장에 소개된 학습 부진아와 관련된 세 가지 차원에서의 槪念을 요약하여 보고, 우리 교육 현실에 적합한 학습 부진아 槪念 모형을 정립하여 부진아 지도에 대한 교육 방향을 제시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