착유우 사양관리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1-28 05:44
본문
Download : 착유우 사양관리.hwp
…(省略)
착유우 사양관리
Download : 착유우 사양관리.hwp( 92 )






레포트/자연과학
순서
설명
다. 따라서 반추 및 저작횟수의 부족은 “침분비 부족→제1위 조건악화→소화 및 영양소합성 불량”으로 이어지는 나뿐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된다. 보고서에 유용한 내용이 있으리라 생각되며, 좋은 하루 보내시고 늘 행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.
(2) 제2, 3, 4위
식도와 제1위에 연결된 부분인 분문 아래에 있는 제2위는 강력한 수축력이 있어서 정화조바닥의 수증펌프와 같은 역할을 하여 위내용물을 다시 토출시켜 1위로 보내고 또 교반시키는 일을 한다. 소의 음수량은 1일 50~80ℓ임에 비하여 침분비량은 1일 80~150ℓ로서, 사료를 부드럽게 혼화시키고 수분을 공급함은 물론 제1위내의 pH조건을 알맞게(pH 6.0~7.0) 유지시키므로서 미생물의 생존 증식 및 활동이 제대로 일어나도록 해주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된다.
반추의 또 한가지 중요한 역할은 침분비를 촉진시키는 일이다.
반추작용(rumination)은 제1위로 섭취된 사료가 입으로 다시 토출된 후 재저작되고 재연하되어 들어가는 작용을 말하는데, 이는 사료를 침 및 미생물과 혼합시켜서 발효(;미생물소화)가 잘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젖소 영양작용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고 건강의 첵크포인트이기도 하다. 보고서에 유용한 내용이 있으리라 생각되며, 좋은 하루 보내시고 늘 행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.
젖소의 소화 및 대사 생리를 살펴보고, 착유우의 특성과 비유주기별 사양관리 포인트, 고능력착유우의 경우 사양문제의 기본원칙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. 반추시 저적운동(;되새김질)은 한번 토출 연하되는데 10~20회, 1분에는 50~60회로서 1일 총 6,300~42,000회 정도의 저작운동을 하게 되므로 소의 턱근육 발달 정도가 소화와 영양작용을 판단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. , 착유우 사양관리자연과학레포트 ,
,자연과학,레포트
1. 젖소의 소화 및 대사 생리
(1) 제1위(반추위)와 반추작용
(2) 제2, 3, 4위
(3) 반추위내 미생물 및 제1위 環境(환경) 조건
(4) 반추위내 소화작용
2. 착유우의 속성
(1) 체중變化(변화)
(2) 사료섭취능력
(3) 산유주기
3. 비유주기별 사양관리 포인트
(1) 기초 수치 및 지표
(2) 비유초기의 사양관리 포인트
(3) 비유중기 및 후기의 사양관리 포인트
4. 고능력착유우의 경우 사양문제의 기본원칙
송아지 육성의 요점은 “어떻게 하면 설사 혹은 발육지연과 같은 일이 생기지 않고 탈없이 제1위를 크게 빨리 발달시키느냐?”라고 할 수 있고, 성우사양의 요점은 “어떻게 하면 제1위의 미생물을 많이 증식 발달시키고 활력이 강하게 작용하도록 하므로써 공급된 원료를 허실없이 최대로 활용하도록, 즉 급여한 사료를 최대의 효율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”이라고 할 수 있다아 즉 우리는 젖소를 기르는게 아니라 미생물을 기르는 것이라고 까지 생각할 수도 있는 것이다.
젖소의 소화 및 대사 생리를 살펴보고, 착유우의 특성과 비유주기별 사양관리 포인트, 고능력착유우의 경우 사양문제의 기본원칙에 마주향하여 정리(整理) 했습니다. 보통 사료채식후 45~70분에 반추가 처음 되며 1일 7~13회 정도로 1회에 30분내외가 소요되어 1일 7~10시간을 반추에 소비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