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행정관리론] 물품관리의 의의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31 22:13
본문
Download : [행정관리론] 물품관리의 의의.hwp
3. 물품의 유형, 구분
따라서 물품관리에 관한 법규는 국가의 재정관리작용을 규제하는 다른 분야의 법제도, 즉 계정일반에 관한 사항과 금전의 수입 및 지출을 규제하는 예산회계법이나 부동산의 관리를 규제하는 국유재산법 등에 비하여 낙후된 상태에 있었다. 이처럼 국가가 소유하는 모든 재산과 국가가 관리하는 물품을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제정 시행되고 있는 법률이 국유재산법과 물품관리법이다. 즉 정부물품의 취득 - 보관 - 사용 및 처분을 합리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물품의 효율적이고 적절한 관리를 도모하는 것이다(물품관리법 제 1조). 이러한 물품관리의 대상은 정부가 소유하거나 보관 - 사용하는 모든 물품이며, 그 물품은 성질 - 용도 및 규격에 따라 다양하고 따라서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다.
다. 국유재산법은 부동산과 부동산에 가까운 중요한 동산 및 국가의 재산적 권리를 주로 적용대상으로 하는 법률인데 비하여, 물품관리법은 동산 중에서 현금과 유가증권과 국유재산으로 처리되는 것을 제외한 동산을 그 적용대상으로 한다는 점이 상이하다.
[목차]
레포트 > 사회과학계열
Download : [행정관리론] 물품관리의 의의.hwp( 16 )
[행정관리론] 물품관리의 의의
행정관리론의 주요 주제인 `政府(정부)재산관리` 중 `물품관리`에 대한 내용입니다.
1. 물품관리와 물품관리법
행정관리, 국유재산, 정부재산, 물품관리, 물품
2. 물품의 의의
2. 물품의 의의
![[행정관리론] 물품관리의 의의-6637_01.gif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0810/%5B%ED%96%89%EC%A0%95%EA%B4%80%EB%A6%AC%EB%A1%A0%5D%20%EB%AC%BC%ED%92%88%EA%B4%80%EB%A6%AC%EC%9D%98%20%EC%9D%98%EC%9D%98-6637_01.gif)
![[행정관리론] 물품관리의 의의-6637_02_.gif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0810/%5B%ED%96%89%EC%A0%95%EA%B4%80%EB%A6%AC%EB%A1%A0%5D%20%EB%AC%BC%ED%92%88%EA%B4%80%EB%A6%AC%EC%9D%98%20%EC%9D%98%EC%9D%98-6637_02_.gif)



물품관리는 국가가 행정사무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가지 종류의 물품을 항상 양호한 상태로 관리하고, 사용목적에 따라 효율적이고 적정하게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.
1. 물품관리와 물품관리법
행정관리론의 주요 주제인 `정부재산관리` 중 `물품관리`에 대한 내용입니다. 물품관리법은 1961년의 예산회계법의 규정에 의하여, 1962년 1월 20일에 제정 공포되어 1963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물품관리법이 시행되기 이전에는 1889년 6월 일제시대 칙령(勅令)으로 제정된 물품회계규칙 및 기타 내규 등으로 70여년간 전근대적인 칙령형식의 규칙에 의하여 물품을 관리하여 왔다.
<표> 물품의 분류
순서
[본문일부]
설명
물품관리법의 대상은 물품이며, 물품관리법이 적용대상으로 하는 물품은 국가가 소유하는 동산과 국가가 사용하기 위하여 보관하는 동산을 말한다(물품관리법 제 2조). 그러나 다음은 물품관리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되는데 이를 적용배제물품이라 한다. 이러한 낙후성을 극복하고 물품의 효율적 관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률이 물품관리법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