퇴계의 양기와 노장의 양기의 차이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2-29 23:31
본문
Download : 퇴계의 양기와 노장의 양기의 차이.hwp
그러므로 아름다운 색을 보자마자 곧 좋음을 알고 마음으로도 정말 좋아한다. 비록 행이 지와 함께 한다 하여도 무방할 정도이다.
설명
Download : 퇴계의 양기와 노장의 양기의 차이.hwp( 77 )
퇴계철학은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이·기를 해명하였고, 그 해명으로써 추연하여 자연을 이해하려고 한 것이다.
마음(심)은 비록 한 몸(일신)을 주재하지만, 그 체의 허영은 천하의 이치를 주관할 수 있다아
이와 기가 합하여 마음(심)이 되고, 허영불측과 같은 것도 있게 되므로, 사물에 이르면 곧 지각할 수 있는 것이다.
마음(심)이란 이와 기의 합이다.
라고 한다. 그리므로 세계주체는 인간 개체이며, ... , 퇴계의 양기와 노장의 양기의 차이인문사회레포트 ,
,인문사회,레포트
순서
퇴계의 양기와 노장의 양기의 차이
퇴계철학은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이·기를 해명하였고, 그 해명으로써 추연하여 자연을 이해하려고 한 것이다. 즉 마음(심)은 인간 개체의 행위를 주재한다. 그리므로 세계주체는 인간 개체이며, 그 개체의 행위 여하에 따라서 세계 발전을 가져온다고 보는 것이다. 퇴계는 [소이연지고(이)]라는 일반적 자연법칙보다도 인간으로서의 행위의 당위성, 즉 의이지심에 의한 행위에 원리인 [소당연지칙(이)]을 더 중요시한 듯하다. 그리므로 세계주체는 인간 개체이며, ...






레포트/인문사회
퇴계철학은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이·기를 해명하였고, 그 해명으로써 추연하여 자연을 이해하려고 한 것이다. (그러나) 의리 문제에 이르면 …(생략(省略))
다. 악취를 맡자마자 곧 그 악을 알고 마음으로도 실제로 그것을 싫어한다. 인간 일반은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 먼저 그 귀추를 미리 짐작할 수 있는 인간 본래적인 양지양능을 가지고 있다아 그러나 형기적 육체를 가진 인간 개체는 그 행위에 있어서의 결과가 선일 수도 있고, 때로는 악일 수도 있다아 그러므로 개체가 실천적 행위로 옮기기 전에 주어진 대상적 사물의 이치를 이해해야 할 것이고, 그것을 이해하는 발용처가 곧 마음(심)이다. 이·기의 합인 마음(심)은 공허하기 때문에 천하 사물의 이치를 무한히 간직할 수 있으며, 그 기는 영묘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어진 천하 사물의 이치를 밝게 지각할 수 있다아 즉 이와 기의 양성을 가진 마음(심)은 현상적 사물들의 지각에 있어서 소위(능각자)는 기이지만, 소이(소각자)는 본성인 이라고 한다. [퇴계전서] `전습록론변`에 보면
대개 형기에 발하는 사람의 마음이란 배우지 않고서도 절로 알고, 힘쓰지 않고서도 절로 할 수 있다아 좋아(호)하고 싫어(악)하는 소재의 표리가 하나 같다.